숫자가 들어간 사자성어 숫자가 들어간 사자성어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숫자가 들어간 사자성어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1. 구우일모 (九牛一毛) 아홉 마리 소 가운데 한 개의 털이라는 말로, 아주 많은 것 가운데 극히 적은 부분을 뜻함. 2. 구사일생(九死一生) 아홉 번 죽을 뻔하다 한 번 살아난다는 말로, 여러 차례 죽을 고비를 겪고 겨우 살아남을 뜻함. 3. 백발백중(百發百中) 총포나 활 따위를 겨누어서 쏠 때 목표하는 곳마다 정확하게 맞음. 4. 삼일천하(三日天下) 아주 짧은 기간 동안 정권을 잡았다가 곧 물러나게 됨을 뜻함. 5. 삼삼오오(三三五五) 서너 사람이나 대여섯 사람씩 떼를 지어 여기저기 다니거나 무슨 일을 하는 모양을 뜻함. 6. 삼오삼오 (三五三五) 서너 사람이나 대여섯 사람씩 떼를 지어 여기저기 다니거나.. 성어속담 2022. 5. 5. 설상가상 반대말 설상가상과 반대되는 말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설상가상 반대말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설상가상(雪上加霜)은 눈 위에 서리까지 덮인다는 말로, 어려운 일이나 불행이 겹쳐서 일어남을 의미한다. 1. 금상첨화(錦上添花) 비단 위에 꽃을 더한다는 말로, 좋은 일 위에 더 좋은 일이 더해짐. 2. 일거양득(一擧兩得) 한 가지 일로 두 가지 이익을 얻음. 3. 일거이득(一擧二得) 한 가지 일로 두 가지 이익을 얻음. 4. 일석이조(一石二鳥) 한 가지의 일로 두 가지 또는 그 이상의 이득을 얻음. 5. 일전쌍조(一箭雙鵰) 한 가지 일로 두 가지 이득을 얻음. 6. 일거다득(一擧多得) 한 번의 일로 많은 이익을 얻음. 1. 설상가설(雪上加雪) 눈 위에 또 눈이 덮인다는 말로, 어려운 일이나 불행이 겹쳐서.. 성어속담 2022. 3. 19. 잡혀서 옴짝달싹 못하는 상황 속담 '잡혀서 옴짝달싹 못하는 상황'이라는 의미를 지닌 속담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잡혀서 옴짝달싹 못하는 상황이라는 의미를 지닌 속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그물에 걸린 토끼 신세 이미 잡혀 옴짝달싹 못하고 죽을 지경에 빠졌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 그물에 든 고기. 이미 잡혀 옴짝달싹 못하고 죽을 지경에 빠졌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3. 그물에 걸린 고기 이미 잡혀 옴짝달싹 못하고 죽을 지경에 빠졌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4. 날개 부러진 새 행동의 기본 수단을 잃고 옴짝달싹할 수 없는 처지에 빠진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5. 농 속에 갇힌 새. 이미 잡혀 옴짝달싹 못하고 죽을 지경에 빠졌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6. 도마에 오른 고기 이미 잡혀 옴짝달싹 못하고 죽을 지경.. 성어속담 2022. 3. 11. 며느리가 늙으면 시어머니가 된다는 뜻 우리 속담에 며느리가 늙으면 시어머니가 된다는 말이 있는데 '며느리가 늙으면 시어머니가 된다'는 무슨 뜻일까? 함께 알아보도록 하자. 며느리도 나이가 들면 자식을 혼인시키고 세상 풍파를 겪으면서 경륜과 생각이 넓어지므로, 나이가 어리다고 업신여기지 말라는 뜻. 며느리가 늙으면 시어머니가 된다는 뜻을 지닌 사자성어는 부로위고(婦老爲姑)이다. - 부로위고(婦老爲姑) 며느리가 늙으면 시어머니가 된다는 말로, 나이가 어리다고 업신여기지 말라는 뜻. - 시어머니 죽으면 안방이 내 차지. - 오래 살면 시어미 죽는 날도 있다. - 저녁 굶은 시어미니 얼굴상. - 방망이로 맞은 시어미 홍두깨로 친다. - 시어미 웃음은 두고 봐야 안다. - 며느리 예쁘다는 시어미 없다. - 10년을 같이 산 시어미 성도 모른다. - .. 성어속담 2022. 3. 2. 말과 행동이 다른 사람 사자성어 말과 행동이 다른 사람이라는 의미를 지닌 사자성어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말과 행동이 다른 사람 사자성어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1. 언행불일치(言行不一致) 말과 그에 따른 행동이 다름. 2. 언행불부(言行不符) 말과 행동이 일치하지 않음. 3. 유언묵행(儒言墨行) 말과 행동이 다름. 4. 언행상반(言行相反) 하는 말과 하는 행동이 다름. 5. 구시심비(口是心非) 말로는 옳다 하면서 마음속으로는 그르다고 여김. 6. 모순당착(矛盾撞着) 한 사람의 말이나 행동이 앞뒤가 서로 맞지 않고 모순이 됨. 7. 양면삼도(兩面三刀) 양다리를 걸치며 겉과 속이 다름. 8. 양봉음위(陽奉陰違) 겉으로는 복종하는 체하면서 마음속으로는 배반함. 9. 자가당착(自家撞着) 한 사람의 말이나 행동이 앞뒤가 서로 맞지 .. 성어속담 2022. 2. 14. 소탐대실같은 사자성어 소탐대실과 의미가 같은 사자성어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소탐대실과 의미가 같은 사자성어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소탐대실(小貪大失)은 욕심이 지나쳐 눈앞의 작은 이익마져도 탐하다가 오히려 큰 이익이나 진짜 소중한 것을 잃어버린다는 뜻입니다. 즉, 욕심이 과하면 화를 부른다는 뜻입니다. 소탐대실(小貪大失)과 의미가 같은 사자성어로는 '과유불급' '과욕필망'이 있습니다. 1. 과유불급(過猶不及) 정도가 지나침은 미치지 못함과 같다. (즉, 욕심이 너무 지나치면 오히려 화가 될 수 있음) (예) 과유불급이라고, 지나친 자신감은 패배의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예) 과유불급이라고, 지나친 관심은 대인관계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 2. 과욕필망(過慾必亡) 욕심이 지나치면 스스로 화를 부르게 됨. (예) 과욕.. 성어속담 2022. 2. 11. 교훈 사자성어 교훈을 주는 사자성어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교훈 사자성어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1. 구화지문(口禍之門) 화는 입으로부터 생기므로 말을 삼가야 함. 2. 교편지마(嚙鞭之馬) 자기의 친척이나 동기를 헐뜯으면 결국 자기에게 해가 됨. 3. 근자필성(勤者必成) 부지런한 사람은 반드시 성공함. 4. 대도무문(大道無門) 큰 깨달음이나 진리에 이르는 데에는 정해진 길이나 방식이 없음. 5. 백절불요(百折不撓) 수없이 많이 꺾여도 굴하지 않고 이겨 나감. 6. 백절불굴(百折不屈) 수없이 많이 꺾여도 굴하지 않고 이겨 나감. 7. 마부작침(磨斧作針) 도끼를 갈아 바늘을 만든다는 말로, 어려운 일이라도 꾸준히 노력하면 이룰 수 있음. 8. 무괴아심(無愧我心) 내 마음에 부끄러움 없도록 어질고 의롭고 바르고 착하게 .. 성어속담 2022. 2. 5. 이전 1 ··· 6 7 8 9 10 11 12 ··· 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