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의 떡 사자성어 그림의 떡을 의미하는 사자성어는 무엇일까요? 그림의 떡 사자성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그림의 떡을 의미하는 사자성어는 화중지병(畵中之餠)입니다. 화중지병(畵中之餠)은 그림 속의 떡이라는 뜻으로, 아무리 마음에 들어도 이용할 수 없거나 차지할 수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입니다. 화중지병은 줄여서 '화병(畵餠)'이라고도 합니다. (예) 내게 외제차는 화중지병에 불과하다. (예) 고급 아파트는 우리 부부에게 화중지병에 불과하다. '삼국지의 노육전'에서 전해오는 이야기입니다. 삼국시대 위나라의 명제 조예는 '노육'이라는 신하를 무척 아꼈다. 노육은 언제나 정직하고 성실해서 많은 사람들이 그를 우러러 보았다. 이런 노육에게 명제 조예는 조정에서 일할 인재를 선발하는 '이부상서'라는 높은 벼슬을 내렸다. 그런.. 성어속담 2022. 1. 28. 건강에 대한 사자성어 건강에 대한 사자성어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건강에 대한 사자성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동병하치(冬病夏治) 겨울병은 여름에 치료함. 2. 두한족열(頭寒足熱) 건강에 좋게 하려고 머리는 차게 두고 발은 덥게 함. 3. 불로장생(不老長生) 늙지 않고 오래 삶. 4. 불로불사(不老不死) 늙지도 않고 죽지도 않음. 5. 만수무강(萬壽無疆) 아무 병 없이 오래오래 삶. (건강과 장수를 축원할 때 쓰는 말) 6. 만세무강(萬世無疆) 아무 병 없이 오래오래 삶. (건강과 장수를 축원할 때 쓰는 말) 7. 무병장수(無病長壽) 병이 없이 오래 삶. 8. 이열치열(以熱治熱) 더위는 더위로써 다스림. 9. 이한치한(以寒治寒) 추위는 추위로써 다스림. 10. 이독공독(以毒攻毒) 독을 없애는 데 다른 독을 씀. 11.. 성어속담 2021. 12. 30. 겨울 관련 속담 겨울과 관련된 속담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겨울 관련 속담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1. 눈 위에 서리 친다. 불행하거나 곤란한 일에 또 그런 일이 겹친다는 뜻. 2. 봄에 하루 놀면 겨울에 열흘 굶는다. 젊어서 노력하지 않으면 늙어서 고생한다는 뜻. 3. 썰매는 여름에 장만하고 달구지는 겨울에 장만한다. 무엇이든 제철이 되기 전에 준비해 두어야 낭패가 없다는 뜻. 4. 이월 눈이 지게를 덮는다. 늦은 겨울날에 오는 눈이 지게를 덮을 만큼 많이 온다는 뜻. 5. 겨울 화롯불은 어머니보다 낫다. 추운 겨울에는 따뜻한 것이 제일 좋다는 뜻. 6. 겨울이 지나지 않고 봄이 오랴. 세상의 일은 다 일정한 순서가 있는 것이니, 급하다고 하여 억지로 할 수 없다는 뜻. 7. 눈 온 뒷날은 거지가 빨래를 한다. 눈.. 성어속담 2021. 11. 18. 반딧불 공부 사자성어 반딧불로 공부하여 이룬 공이라는 의미를 지닌 사자성어는 무엇일까? 반딧불로 공부하여 이룬 공이라는 의미를 지닌 사자성어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반딧불로 공부하여 이룬 공이라는 의미를 지닌 사자성어는 '형설지공'이다. 형설지공(螢雪之功)은 반딧불과 눈빛으로 이룬 공이라는 말로, 가난을 이겨 내고 열심히 공부한 끝에 성공함을 뜻하는 사자성어다. 진나라에 손강이라는 소년은 집안이 너무 가난해 등불을 켜는 데 쓸 기름을 살 돈도 없었다. 결국 그는 차가운 겨울 바람이 살을 파고 들었지만 방문을 활짝 열고 쌓인 눈에 반사된 달빛으로 책을 읽으며 공부해 마침내 높은 벼슬에 올랐다. 한편 차윤이라는 소년도 손강 못지않게 가난하여 그 역시도 밤에 등불이 없어 공부를 할 수 없었다. 그는 갖은 궁리 끝에 밤.. 성어속담 2021. 10. 19. 나쁜 사람 사자성어 나쁜 사람과 관련된 사자성어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나쁜 사람 사자성어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1. 인면수심(人面獸心) 사람의 얼굴을 하고 있으나 마음은 짐승과 같다는 말로, 마음이나 행동이 몹시 흉악한 사람을 뜻함. 2. 철면피(鐵面皮) 철로 만든 것처럼 두꺼운 낯가죽이라는 말로, 염치가 없고 뻔뻔스러운 사람을 뜻함. 3. 파렴치한(破廉恥漢) 체면이나 부끄러움을 모르는 뻔뻔한 사람을 뜻함. 4. 후안무치(厚顔無恥) 낯가죽이 두꺼워 뻔뻔하고 부끄러움을 모름을 뜻함. 5. 오만방자(敖慢放恣) 남을 업신여기며 제멋대로 행동함을 뜻함. 6. 오만불손(傲慢不遜) 태도나 행동이 건방지고 공손하지 못함을 뜻함. 7. 강약약강(强弱弱强) 강한 상대에게는 약하고 약한 상대에게는 강함을 뜻함. 8. 근묵자흑.. 성어속담 2021. 9. 28. 강건너 불구경 하듯 한다 뜻 및 사자성어 강건너 불구경 하듯 한다는 속담이 있는데요, 강건너 불구경 하듯 한다 뜻 및 사자성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본인에게 관계없는 일이라고 하여 무관심하게 방관하는 것을 뜻함. (예) 강건너 불구경 하듯 하지 말고 빨리 도와 주거라. (예) 사람들은 도로에서 폭행당하는 사람을 보고도 강건너 불구경 하듯 바라만 보고 있었다. 1. 수수방관(袖手傍觀) 나서야 할 일에 간여하지 않고 그대로 내버려둠을 뜻함. 2. 오불관언(吾不關焉) 나는 상관하지 않는다는 뜻. 3. 격안관화(隔岸觀火) 강건너 불구경한다는 말로, 적의 내분이 발생했을 때 그 혼란이 극에 달하기를 기다려 어부지리를 얻는 것을 뜻함. 4. 작벽상관(作壁上觀) 성벽에서 싸우지 않고 구경만한다는 말로, 승패만을 볼 뿐 도와주지 않음을 뜻함. 1. 소 닭보.. 성어속담 2021. 9. 26. 소통 관련 사자성어 소통과 관련된 사자성어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소통 관련 사자성어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1. 의사소통(意思疏通) 가지고 있는 생각이나 뜻이 서로 통함을 뜻함. 2. 난의문답(難疑問答) 어렵고 의심스러운 것을 서로 묻고 답함을 뜻함. 3. 만장일치(滿場一致) 회장에 모인 모든 사람의 의견이 완전히 일치함을 뜻함. 4. 만구일담(萬口一談) 여러 사람의 의견이 서로 꼭 맞음을 뜻함. 5. 전원일치(全員一致) 소속된 모든 사람의 의견이 같은 상태임을 뜻함. 6. 허심탄회(虛心坦懷) 품은 생각을 터놓고 말할 만큼 마음에 아무런 거리낌이 없고 솔직함을 뜻함. 7. 상통하달(上通下達) 위로 통하고 아래로 전달된다는 말로, 아랫사람의 뜻이 윗사람에게 잘 통하고 윗사람의 뜻이 아랫사람에게 잘 전해짐을 뜻함.. 성어속담 2021. 9. 22. 이전 1 ··· 7 8 9 10 11 12 13 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