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끼다 똥된다는 속담의 뜻은 '아끼다 똥된다'는 속담이 있는데요, 아끼다 똥된다는 속담의 뜻은 무엇일까요? 아끼다 똥된다는 속담의 뜻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물건을 쓰지 않고 너무 아끼기만 하면 도리어 못쓰게 되는 경우가 많다는 말입니다. ※ 아끼다 똥 된다. 물건을 쓰지 않고 너무 아끼기만 하면 도리어 못쓰게 되는 경우가 많다는 말. 아끼다 똥 된다는 속담과 의미가 같은 말로는 '아끼는 것이 찌로 간다'가 있습니다. ※ 아끼는 것이 찌로 간다. 물건을 쓰지 않고 아끼기만 하다가는 결국 쓸모없게 된다는 말. 1. 한푼 아끼다 백 냥 잃는다. 적은 것을 아끼다가 큰 것을 손해 본다는 말. 2. 닭 잡아 겪을 나그네 소 잡아 겪는다. 작은 닭 한 마리를 잡아서 대접했으면 족한 것을 오래 지난 탓으로 큰 소를 잡아서 대접하게 된다는 말로.. 성어속담 2022. 11. 18. 괜한 걱정 한자성어 괜한 걱정을 의미하는 한자성어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괜한 걱정 한자성어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괜한 걱정이나 지나친 걱정'을 뜻하는 한자성어는 '기인지우'와 '기인우천'입니다. 1. 기인지우(杞人之憂) 앞일에 대해 쓸데없는 걱정을 함. 2. 기인우천(杞人憂天) 앞일에 대해 쓸데없는 걱정을 함. '기인지우'는 '중국 열자'에서 전해오는 한자성어로서 직역하면 '기나라 사람의 걱정'으로 풀이되지만 '쓸데없는 걱정이나 지나친 걱정'을 뜻하는 말로 사용됩니다. ※ 기인지우(杞人之憂)는 '기나라 사람의 걱정'이라는 말로, 쓸데없는 걱정이나 지나친 걱정을 뜻하는 말인데요, 요즘은 '기인지우'의 줄임말인 '기우(杞憂)'가 '괜한 걱정, 쓸데없는 걱정, 지나친 걱정'을 뜻하는 말로 주로 사용됩니다. .. 성어속담 2022. 11. 6. 사람은 바뀌지 않는다 고사성어 사람은 바뀌지 않는다는 의미를 지닌 고사성어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사람은 바뀌지 않는다 고사성어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1. 본성불변(本性不變)사람의 본성은 변하지 않는다는 뜻. 2. 본성난이(本性难移) 사람의 본성은 변하지 않는다는 뜻. 3. 삼세지우팔십(三歲之習至于八十)세 살 버릇 여든까지 간다는 말로, 사람의 성격은 쉽게 변하지 않는다는 뜻. 4. 삼세지습지우팔십(三歲之習至于八十) 세 살 버릇 여든까지 간다는 말로, 사람의 습관은 고치기가 어렵다는 뜻. 5. 우이독경(牛耳讀經)쇠귀에 경 읽기라는 말로, 아무리 가르치고 일러주어도 알아듣지 못한다는 뜻. 6. 우이송경(牛耳誦經)쇠귀에 경 읽기라는 말로, 아무리 가르치고 일러주어도 알아듣지 못한다는 뜻. 7. 마이동풍(馬耳東風)말의 귀.. 성어속담 2022. 11. 4. 제 버릇 개 못준다의 사자성어 제 버릇 개 못준다는 속담이 있는데요, 제 버릇 개 못준다는 속담과 의미가 같은 사자성어는 무엇일까요? 제 버릇 개 못준다의 사자성어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한번 들인 버릇은 고치기 어렵다는 뜻. 동일한 의미를 지닌 속담으로는 '제 버릇 남 못준다'가 있습니다. ※ 제 버릇 남 못준다. 한번 들인 버릇은 고치기 어렵다는 뜻. '하우불이'입니다. 하우불이(下愚不移)는 '어리섞고 못난 사람의 버릇은 고치지 못한다는 뜻입니다. ※ 하우불이(下愚不移) 어리섞고 못난 사람의 버릇은 고치지 못함. / 어리석고 못난 사람은 늘 그대로 있고 발전하지 못함. 1. 삼세간도노(三岁看到老) 세 살 버릇 여든까지 간다는 말. 즉, 제 버릇 개 못준다는 뜻. 2. 구개부료흘시(狗改不了吃屎) 똥개는 똥먹는 버릇은.. 성어속담 2022. 11. 2. 노력하면 이루어진다 사자성어 노력하면 이루어진다는 의미를 지닌 사자성어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노력하면 이루어진다 사자성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각곡유아(刻鵠類鵝) 목표를 가지고 노력하면 어느 정도의 성과는 얻을 수 있음. 2. 각곡유목(刻鵠類鶩) 큰 뜻을 가지고 노력하다 보면 작은 성과라도 이루게 됨. 3. 마부작침(磨斧作針) 도끼를 갈아 바늘을 만든다는 말로, 어려운 일이라도 꾸준히 노력하면 이룰 수 있다는 뜻. 4. 마부위침(磨斧爲針) 도끼를 갈아서 바늘을 만든다는 말로, 아무리 어려운 일이라도 끊임없이 노력하면 반드시 이룰 수 있다는 뜻. 5. 마저작침(磨杵作針) 쇠공이를 갈아 바늘을 만들다는 말로, 아무리 어려운 일이라도 끈기있게 노력하면 이룰 수 있다는 뜻. 6. 점적천석(點滴穿石) 처마의 빗방울이 .. 성어속담 2022. 10. 31. 고목나무에 꽃이피다라는 뜻 고목나무에 꽃이 피다'는 속담이 있는데요, 고목나무에 꽃이피다라는 어떤 뜻일까요? 고목나무에 꽃이피다라는 뜻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① 보잘것 없던 집안에 영화로운 일이 생기게 된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② 아버지를 일찍 여읜 고아가 잘되어 집안이 번성하게 된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③ 도저히 있을 수 없는 일이어서 기약할 수 없음을 이르는 말. '고목나무에 꽃이 피다'와 의미가 같은 속담으로는 '죽은 나무에 꽃이 피다'가 있습니다. 1. 나무 접시 놋접시 될까. 아무리 해도 좋게 될 수 없는 일이나 사람을 두고 하는 말. 2. 대추나무에 연 걸리듯. 여기저기에 빚을 많이 진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3. 사과나무에 배가 열렸나. 사과나무에 배가 열린 것처럼 엉뚱하다는 말로, 이치에 맞.. 성어속담 2022. 10. 23. 사업 성공기원 사자성어 사업이 성공하기를 기원하는 사자성어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사업 성공기원 사자성어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1. 가업흥성([家業興盛) 가업이 매우 왕성하게 일어남. 2. 만사형통(萬事亨通) 모든 일이 뜻대로 잘 풀림. 3. 만사대길(萬事大吉) 모든 일이 순조롭게 잘 풀림. 4. 복덕구족(福德具足) 복과 덕이 원만히 갖춰졌다는 말로 내외적으로 모두 풍족하길 바란다는 뜻. 5. 백재취래(佰財聚來) 백가지 재물이 모이고 들어온다는 뜻. 6. 사업번창(事業繁昌) 사업이 한참 잘되어 성하게 됨. 7. 사업성취(事業成就) 사업이 목적한 대로 이루어짐. 8. 승승장구(乘勝長驅) 승리나 성공의 여세를 몰아 계속 나아감. 9. 소원성취(所願成就) 바라던 바를 이루어 냄. 10. 운수대통(運數大通) 인간의 능력을 초월하.. 성어속담 2022. 9. 2. 이전 1 ··· 4 5 6 7 8 9 10 ··· 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