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업자득 자승자박 뜻 '자업자득'과 '자승자박'이라는 사자성어가 있는데요, 자업자득 자승자박은 어떤 뜻일까요? 자업자득 자승자박의 뜻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① 자업자득(自業自得) 본인이 저지른 일의 결과를 스스로가 돌려받음. (예) 과소비로 망한 것은 자업자득이다.(예) 이런 꼴로 사는 것도 자업자득이다. (예) 공부를 하지않아 시험에 떨어진 것은 자업자득이다. 자업자득의 개별 한자의 뜻은 (自 : 스스로 자) (業 : 업 업) (自 : 스스로 자) (得 : 얻을 득)입니다. ② 자승자박(自繩自縛) 제 줄로 제 몸을 옭아 묶는다는 말로, 본인이 한 말과 행동으로 인해 본인이 괴로움을 당하게 됨. (예) 그는 결국 자승자박의 쓴 맛을 보았다. (예) 왜 그냥 넘어가는 일을 자승자박하는가?(예) 그의 언행은 후일 자.. 성어속담 2023. 8. 5. 구우일모 뜻 구우일모 유래 '구우일모'라는 사자성어가 있는데요, 구우일모는 어떤 뜻일까요? 구우일모 뜻, 구우일모 유래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아홉 마리 소 가운데서 뽑은 털 하나라는 말로, 아무것도 아닌 하찮은 것이나 미미한 일이라는 뜻입니다. 즉, 아주 많은 것 가운데 극히 적은 부분으로 하찮거나 미미한 일이라는 뜻입니다. ※ 구우일모(九牛一毛) 아홉 마리 소 가운데 한 개의 털이라는 말로, 아주 많은 것 가운데 극히 적은 부분으로 하찮거나 미미한 일이라는 뜻입니다. 한문으로는 九牛一毛로 적으며, 개별 한자의 뜻은 (九 : 아홉 구) (牛 : 소 우) (一 : 한 일) (毛 : 털 모)입니다. 출전은 중국 '한서'입니다. 중국 한나라 무제 때, 장군 '이릉'은 보병 5,000명을 이끌고 흉노를 정벌하러 나가 열 .. 성어속담 2023. 7. 30. 살신성인과 유사한 한자 살신성인과 유사한 한자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살신성인과 유사한 한자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자신의 몸을 죽여 인을 이룬다는 말로, 자기(自己)의 몸을 희생하여 옳은 도리(道理)를 행함. 1. 공이망사(公而忘私) 공적인 일을 위하여 사사로운 일을 잊음. 집단의 이익을 위해 개인의 이익을 희생함. 2. 대공무사(大公無私) 매우 공평하여 사사로움이 없다는 말로, 공적인 일을 처리함에 있어 개인의 감정을 개입시키지 않음. 3. 대의멸친(大義滅親) 국가의 대의를 위해서는 부모 형제도 돌봐 주지 않음. 4. 멸사봉공(滅私奉公) 사를 버리고 공을 위하여 힘써 일함. 사욕을 버리고 공익을 위하여 힘씀. 5. 사생취의(捨生取義) 목숨을 버리고 의리를 좇는다는 말로, 비록 목숨을 버릴지언정 옳은 일을 .. 성어속담 2023. 7. 16. 용두사미의 반대 사자성어 용두사미라는 사자성어가 있는데요, 용두사미의 반대 의미를 지닌 사자성어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용두사미의 반대 사자성어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용두사미(龍頭蛇尾)는 머리는 용이나 꼬리는 뱀이라는 말로, 처음은 좋으나 끝이 좋지 않음을 뜻합니다. 1. 계구우후(鷄口牛後) 닭의 머리와 소의 꼬리라는 말로, 큰 집단의 꼴찌보다는 작은 집단의 우두머리가 더 낫다는 뜻. 2. 사두용미(蛇頭龍尾) 뱀의 머리와 용의 꼬리라는 말로, 처음에는 부진하나 끝이 왕성함. 3. 유종지미(有終之美) 시작한 일을 끝까지 잘하여 그 결과가 좋음을 뜻함. 4. 유두유미(有頭有尾) 처음부터 끝까지 조리가 있음. 5. 초지일관(初志一貫) 처음에 세운 뜻을 이루려고 끝까지 밀고 나감을 뜻함. 1. 유두무미(有頭無尾) .. 성어속담 2023. 6. 21. 토끼 사자성어 토끼 관련 사자성어 토끼와 관련된 사자성어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토끼 관련 사자성어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1. 교토삼굴(狡兔三窟) 꾀가 많은 토끼는 세 개의 숨을 굴을 파 놓는다는 말로, 사람이 뛰어난 재주로 잘 숨어 재난을 피한다는 뜻. 2. 견토지쟁(犬兎之爭) 개와 토끼의 다툼이라는 말로, 두 사람의 싸움에 제삼자가 이익을 본다는 뜻. 3. 견토방구(見兎放狗) 토끼를 발견한 뒤에 사냥개를 놓아서 잡아도 늦지 않는다는 말로, 어떤 일이 일어나는 것을 기다린 후에 응해도 좋다는 뜻. 4. 금오옥토(金烏玉兎) 해 속에 까마귀가 있고 달 속에 옥토끼가 있다는 말로, 해와 달을 아울러 이르는 말. 5. 득토망제(得兎忘蹄) 토끼를 잡으면 사냥수단이였던 올무를 잊는다는 말로, 목적한 바를 이루고 나서 그동안 쓰이던 .. 성어속담 2023. 6. 1. 목구멍이 포도청 뜻 및 유래 목구멍이 포도청이라는 속담이 있는데요, 목구멍이 포도청은 어떤 뜻일까요? 목구멍이 포도청 뜻과 목구멍이 포도청 유래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먹고살기 위해 범죄나 체면에 어긋나는 일까지도 하게 된다는 뜻이지만, 아래와 같이 몇가지 의미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① 먹고살기 위해서는 범죄와 같은 하지말아야 할 짓까지도 하게 된다는 의미. ② 먹고살기 위해서는 체면도 가리지 않고 닥치는대로 이일 저일을 하게 된다는 의미. ③ 먹고살기 위해서는 아니꼽거나 괴로워서 하기싫은 일도 마지못해 억지로 한다는 의미. 포도청은 조선시대에 죄인들을 잡아서 죄를 다스리던 곳으로 사람들이 무서워하는 곳이지만 굶는 것이 죄를 짓는 것보다 더 무섭기 때문에 먹고 살기 위해는 차라리 포도청에 잡혀가는 나쁜 짓일지라도 먹고 살기 위해서.. 성어속담 2023. 5. 18. 가화만사성 한자 가화만사성'이라는 말은 가훈으로도 많이 사용하는데요, 가화만사성은 한자로 어떻게 표현할까요? 가화만사성 한자와 뜻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가화만사성은 한자로 '家和萬事成'으로 적으며, 개별한자의 뜻은 (家 : 집 가), (和 : 화할 화), (萬 : 일만 만), (事 : 일 사), (成 : 이룰 성)입니다. ※ 가화만사성(家和萬事成) 뜻. 집안이 화목하면 모든 일이 잘된다는 뜻. (예) 가화만사성이라고 하니 가정이 늘 화목해야 한다. (예) 가화만사성이라는 말이 생긴 것은 웃는 집안에 행복이 가득하기 때문이다. ※ '명심보감과 치가'에는 아래와 같은 말이 있습니다. '자식이 효도하면 어버이가 즐겁고, 집안이 화목하면 만사가 이루어진다.' 예로부터 가화만사성을 가장 큰 덕목으로 여겼는데요, 오늘날에도 이상.. 성어속담 2023. 4. 22. 이전 1 2 3 4 5 6 7 ··· 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