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끌모아 태산 사자성어 작은 것이라도 모이고 모이면 나중에 큰 것이 된다는 뜻을 지닌 속담이 '티끌모아 태산'인데, 티끌모아 태산을 의미하는 사자성어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티끌모아 태산'을 의미하는 사자성어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자. 1. 토적성산(土積成山) 티끌도 모이면 태산이 된다는 말로, 적은 물건도 많이 모이면 큰 것이 됨을 뜻함. 2. 적소성대(積小成大) 작은 것이나 적은 것도 쌓이면 크게 되거나 많아짐을 뜻함. 3. 적토성산(積土成山) 작은 것이나 적은 것도 쌓이면 크게 되거나 많아짐을 뜻함. 4. 적진성산(積塵成山) 작은 것이나 적은 것도 쌓이면 크게 되거나 많아짐을 뜻함. 5. 진합태산(塵合泰山) 티끌도 모이면 태산이 된다는 말로, 적은 물건도 많이 모이면 큰 것이 됨을 뜻함. 6. 수적성산(土積成山) 흙이 .. 성어속담 2021. 7. 18. 노력 관련 속담 모음 예로부터 노력에 관한 속담이 많이 전해오는데, 노력 관련 속담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노력 관련 속담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1. 하늘은 스스로 돕는 자를 돕는다. 하늘은 스스로 노력하는 사람을 도와 성공하게 한다는 뜻. 2. 공든 탑이 무너지랴. 힘을 다하고 정성을 다해 한 일은 쉽게 헛되이 되지 않으며 그만한 보람이 있다는 뜻. 3. 무쇠도 갈면 바늘 된다.꾸준히 노력하면 아무리 어려운 일이라도 이룰 수 있다는 뜻. 4. 천리 길도 한 걸음부터.아무리 큰 일이라도 그 첫 시작은 작은 일부터 비롯된다는 뜻. 5. 열 번 찍어 아니 넘어가는 나무 없다.계속해서 노력하면 뜻을 이룰 수 있다는 뜻. 6. 우물을 파도 한 우물만 파라.한 가지 일을 철저히 해야 성공할 수 있다는 뜻. 7. 달리는 말에 채.. 성어속담 2021. 7. 12. 힘이되는 사자성어 삶에 힘이되는 사자성어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힘이되는 사자성어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1. 고진감래(苦盡甘來) 고생 끝에 즐거움이 옴을 뜻함. 2. 일취월장(日就月將) 나날이 발전하거나 성장함을 뜻함. 3. 지성감천(至誠感天) 지극한 정성에 하늘이 감동함을 뜻함. 4. 사필귀정(事必歸正) 모든 일은 반드시 바른길로 돌아가게 됨을 뜻함. 5. 십시일반(十匙一飯) 여럿이 힘을 합하면 한 사람쯤은 구제하기 쉽다는 뜻. 5. 유지경성(有志竟成) 의지를 가지고 있으면 마침내 이룬다는 말로, 뜻이 있는 사람은 반드시 성공함을 뜻함. 6. 인과응보(因果應報) 선을 행하면 선의 결과가, 악을 행하면 악의 결과가 반드시 뒤따름을 뜻함. 7. 대기만성(大器晩成) 크게 될 사람은 많은 노력과 시간이 필요하여 늦게 이루.. 성어속담 2021. 7. 8. 나를 알아주는 친구 사자성어 나를 알아주는 친구라는 의미를 지닌 사자성어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나를 알아주는 친구'라는 의미를 지닌 사자성어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나를 알아주는 친구'라는 의미를 지닌 사자성어에는 '지기지우'와 '지음지기'가 있다. * 지기지우((知己之友)는 '자기를 가장 잘 알아주는 친한 친구' 또는 '서로 뜻이 통하는 친한 친구를 뜻한다. - 지기지우((知己之友) '자기를 가장 잘 알아주는 친한 친구' 또는 '서로 뜻이 통하는 친한 친구. * 지음지기(知音知己)는 소리를 듣고 나의 마음을 알아주는 친구를 뜻한다. - 지음지기(知音知己) 소리를 듣고 나의 마음을 알아주는 친구. 누구나 자신을 알아주는 '지기지우'나 '지음지기'가 한두 명은 있을 것이다. 자신을 알아주는 친구는 정말 소중한 사람이므로 서로.. 성어속담 2021. 6. 28. 호랑이도 제말하면 온다 뜻 및 사자성어 우리 속담에 '호랑이도 제말하면 온다'는 속담이 있다. '호랑이도 제말하면 온다'는 어떤 의미일까? 호랑이도 제말하면 온다 뜻과 사자성어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① 산에 사는 호랑이조차도 저에 대해 이야기하면 찾아온다는 말로, 그 자리에 없는 사람의 흉을 보아서는 안 된다는 뜻. ② 자리에 없는 사람에 대한 이야기를 하는데 공교롭게도 자리에 없던 사람이 나타나는 경우를 뜻함. (예문) 호랑이도 제말하면 온다더니, 마침 너의 안부를 묻고 있었는데 네가 왔구나. '호랑이도 제 말하면 온다'는 속담과 그 의미가 유사한 속담으로는 '까마귀 제 소리 하면 온다' '범도 제 말하면 온다'가 있습니다. ① 까마귀 제 소리 하면 온다. 자리에 없는 사람에 대한 이야기를 할 때 공교롭게 그 사람이 나타나는 경우를 뜻함.. 성어속담 2021. 6. 22. 닭 관련 속담 닭과 관련된 속담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닭 관련 속담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자. 1. 닭 소 보듯, 소 닭 보듯 서로 아무런 관심도 두지 않는 사이를 뜻함 2. 닭의 목을 베고 잔다 닭의 목을 베고 자다가 닭과 함께 새벽에 깨어난다는 말로, 새벽 잠이 없음을 뜻함 3. 닭의 갈비 먹을 것 없다 형식만 있고 내용은 보잘것없음을 뜻함 4. 닭의 발목을 먹었느냐 무엇을 자꾸 헤집어 놓는 사람을 핀잔하는 말 5. 닭의 대가리가 소꼬리보다 낫다 크고 훌륭한 자의 뒤를 쫓아다니는 것보다는 작고 보잘것없는 데서 남의 우두머리가 되는 것이 낫다는 뜻 6. 닭이 천이면 봉이 한 마리 있다 사람이 많으면 그중에 뛰어난 사람도 있음을 뜻함 7. 닭 잡아 겪을 나그네 소 잡아 겪는다 어떤 일을 처음에 소홀히 하다가 나중에 .. 성어속담 2021. 6. 13. 배려 사자성어 모음 '배려'란 '여러 가지로 마음을 써서 보살피고 도와줌'을 뜻하는 말인데, 배려와 관련된 사자성어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배려 사자성어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1. 역지사지(易地思之) 남과 처지를 바꾸어 생각하거나 남의 입장에서 생각함을 뜻함. 즉, 모든 것을 상대방의 입장에서 생각함을 뜻함. 2. 마정방종(摩頂放踵) 정수리부터 닳아서 발꿈치까지 이른다는 말로, 자기를 돌보지 않고 남을 깊이 사랑함을 뜻함. 3. 해의추식(解衣推食) 옷을 벗어 주고 밥을 나누어 준다는 말로, 남에게 각별히 친절하게 대하는 것을 뜻함. 4. 부지천한(不知天寒) 상대를 배려하고 이해하자는 뜻. 5. 대객지도(對客之道) 손님을 대할 때의 도리나 예의를 뜻함. 6. 살신성인 (殺身成仁) 자기 몸을 희생하여 인을 이룸. 즉, 옳.. 성어속담 2021. 5. 30. 이전 1 ··· 10 11 12 13 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