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소증후군, 탈진증후군으로도 불리는 번아웃 증후군이란 무엇일까? 직장인 95%
이상이 번아웃 증후군으로 인해 힘든 경험을 하게 된다는데, 번아웃 증후군이란
무엇인이지 또 번아웃증후군 증상은 어떻게 나타나는지 살펴보자.
<번아웃 증후군이란>
지나치다 싶을 정도로 의욕적으로 일에만 몰두하던 사람이 극도의 신체적·정신적
피로감을 느끼면서 무기력해지는 증상을 말한다. 번아웃증후군에 빠지면 무기력증을
비롯해 자기혐오, 직무거부 등의 현상도 나타날 수 있다.
번아웃증후군은 1980년대 미국의 정신분석 의사 H.프뤼덴버그가 처음 사용한
심리학 용어로서, 의학적으로 질병은 아니지만, 세계보건기구(WHO)가 직업관련
증상으로 인정하였다.
번아웃증후군은 스트레스를 축적시키면서 몸안에 있는 에너지를 모두 소진시키기
때문에 몸의 면역력이 저하되어 신체적·정신적 극도의 피로감을 느끼게 되는 것이다.
번아웃증후군을 연소증후군이라고도 부르는 이유는 '번아웃(Burn Out)' 즉, '불타서
없어진다'는 뜻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번아웃증후군을 겪으면 신체적·정신적으로 극도의 피로감, 의욕상실, 무기력증에
시달림은 물론 심한 경우는 우울증에 빠지면서 자신의 무능력을 탓하는 자기혐오에
빠지고 주어진 업무를 거부하기도 한다.
<번아웃증후군 증상>
① 기력이 없고 쇠약해진 느낌이 든다
② 쉽게 짜증이 나고 노여움이 치솟는다
③ 만성적인 감기, 요통, 두통, 소화불량 등에 시달린다
④ 우울하거나 술픈 감정을 느낀다
⑤ 업무량이 지나치게 많아진 것 같고 예전과 달리 열정이 사라진다
⑥ 잠을 자도 피로가 누적되는 것 같고 이전에 비해 더 빨리 더 쉽게 지치는 것 같다
⑦ 속이 텅 빈 것 같고 일과 자기 자신, 인생에 대한 회의감이 든다
⑧ 소지품 잘 분실하거나, 억한 것을 잊어버리게 된다.
⑨ 즐거운 마음이 들지 않고 냉소적으로 변한다.
⑩ 주변사람들에게 실망을 잘 느끼고, 혼자 보내는 시간이 많아진다.
<번아웃증후군 원인>
직장인들이 번아웃증후군을 겪는 가장 큰 이유는 노동의 강도가 높고 노동시간이
긴데 비해 휴식은 부족하고, 모든 일을 완벽하게 처리해야 한다는 직장분위기와
함께 지나친 경쟁구도가 형성되기 때문이다.
<번아웃증후군 탈출법>
① 승진이나 경쟁에 너무 집착하지 않는다.
② 좋아하는 여가활동이나 운동 등으로 스트레스를 줄인다.
③ 영양제를 복용하여 체력을 강화시킨다.
④ 업무에 너무 연연하지 않고 가급적 휴식을 많이 갖는다.
⑤ 전문가에게 자신의 증상에 대해 상담을 받는다.
⑥ 누구나 다 겪는 증상이라고 생각하며 스스로 위안을 한다.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톡스 효과 언제부터 나타날까 (0) | 2019.06.22 |
---|---|
신체나이 측정법 소개 (0) | 2019.06.10 |
눈에 이물질이 들어갔을때 처치법 (0) | 2019.05.31 |
장수비결 10가지 요약 정리 (0) | 2019.05.27 |
금연 실패 이유 (원인) (0) | 2019.05.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