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기증이란 움직일 때 몸 주위의 물체가 빙빙 도는 것처럼 느껴지거나, 어지러우면서
눈앞이 캄캄하게 느껴지는 경우를 의미한다. 그런데 현기증은 왜 생길까? 움직이면
현기증이 나는 이유에 대해 살펴보자.
<현기증이 나는 이유>
1. 전정기관에 문제가 있는 경우
귀의 전정기관에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귀의 내이(內耳)는 소리를 듣는 '와우'라는
부분과 신체의 균형을 느끼고 잡아주는 전정기관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전정기관이
건강하면 눈을 감고도 가만히 서 있을 수 있으나, 전정기관에 이상이 있으면 현기증이
발생한다.
전정기관에 문제가 생기는 이유는 대부분 메니에르병 때문이다. 메니에르병은 몸의
균형을 잡아주는 미로의 내임파액의 압력이 높아졌을 때 발생하며, 현기증, 난청,
구토가 주요 증상이다.
2. 메니에르증후군
고혈압이나 저혈압인 경우, 자율신경이 불안정한 경우에 메니에르병과 비슷한 증상을
보여 현기증이 생기는데, 이 경우를 메니에르증후군이라고 한다. 메니에르증후군을
진단받은 경우는 그 원인이 귀 안쪽에 있는 메니에르병 때문인지, 귀 안쪽 외에 다른
질환 때문인지를 명확하게 구분할 필요가 있다.
3. 두뇌에 생긴 질환
뇌종양, 소뇌의 질병, 스트렙토마이신 중독 등으로도 현기증이 일어날 수 있다.
4. 극도의 피로
몸이 극도로 피곤하여 피로감을 느낄 경우도 현기증이 발생할 수 있다.
5. 혈압약 복용
고혈압으로 혈압약을 복용하는 경우 간혹 현기증을 느낄 수 있다.
6. 기타 요인들
갱년기장애, 뇌동맥경화증, 빈혈 때문에도 가끔 현기증을 느낄 수 있다.
<현기증이 날 때 대처법>
① 안전한 장소에 정지
안전한 장소에서 눈을 감고 가만히 있는다. 이때 가급적 직사광선을 피하는 것이
좋다.
② 누워있기
베개를 베지 말고, 몸을 따뜻하게 하여 가만히 누워있도록 한다.
③ 머리 움직이지 않기
갑자기 머리를 움직이는 동작을 피하고, 긴장하지 않도록 한다.
④ 기타 증상 확인하기
이명현상, 구역질, 두통 등이 있는지 확인하여 진료시 참고할 수 있도록 한다. 끝.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임산부 커피 위험 여부 (0) | 2020.10.03 |
---|---|
부은눈 가라앉히기 (0) | 2020.09.19 |
속이 더부룩할때 좋은 음식 참고하세요 (0) | 2020.08.23 |
입안이 화끈거리는 이유 (0) | 2020.08.16 |
임산부 음주 괜찮을까 (0) | 2020.08.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