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정보

장결핵 증상 장결핵 완치

청령포님 2023. 4. 10.

결핵균이 소장이나 대장에 침범하여 생기는 장결핵은 항결핵제 치료로 호전되는 질환인데요, 장결핵 증상은
어떻게 나타나는지 장결핵 완치는 어떻게 하는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장결핵 증상>

장결핵은 20~50대에 가장 많이 발생합니다. 장결핵을 진단할 수 있는 특징적인 증상은 없으나 복통, 설사, 체중감소 등의 증상은 장결핵 환자의 절반 이상에서 나타나며, 이 외에도 발열, 식욕감퇴, 혈변 등의 증상도 나타날 수 있는데, 증상은 대개 천천히 나타나며 수년에 걸쳐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또한 약 30%의 환자에서 위장관 이외의 다른 부위에 활동성 결핵 병변이 동반되어 있고 이에 의한 증상들이 함께 나타날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폐결핵이 동반되었을 경우는 기침, 가래, 호흡곤란 등의 증세를 보이며, 결핵성 복막염이 동반될 경우는 복수에 의한 복부팽만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위와 같은 증상으로 병원을 방문하면 자세한 문진과 함께 환자의 증상을 평가하고 복부를 중심으로 신체검사를 실시하며, 통상적으로 대장내시경 및 혈액검사, 흉부방사선 검사를 우선적으로 시행해 병을 진단합니다.

 

문진 시에는 과거에 결핵에 걸린 적이 있는지, 결핵 환자와 접촉한 적이 있는지를 확인함과 동시에 면역력이 약화될 수 있는 여러 가지 질환이나 약물복용력 등도 함께 확인합니다.

 

 

<장결핵 완치>

장결핵 완치를 위한 치료는 페결핵 치료와 같은 일차 항결핵제를 투여합니다. 치료 기간에 대해서는 확실하게 정해진 바 없지만 보통 6~9개월 정도 항결핵제를 투여합니다. 

 

 

폐결핵과 마찬가지로 처음 2개월간은 아이소니아지드, 리팜핀, 에탐부톨, 피라지나마이드를 복용하고, 잔여 기간 동안은 피라지나마이드를 제외한 3가지 약제를 사용하여 완치를 시킵니다.

 

 

<장결핵 치료제 부작용>

1. 아이소니아지드 

간염, 말초신경염, 정신병, 과민증 유발.

 

2. 리팜핀 

간염, 발열, 자반증, 신부전 유발.

 

3. 에탐부톨 

시력감소 유발. 

 

4. 피라지나미이드 

간염, 고요산혈증 유발.

 

 

<참고사항>

장결핵은 그 증상이 크롬병과 비슷하여 구분하기 어려운 질병입니다.

 

결핵균은 폐 뿐아니라 위장관, 관절, 뇌수막, 심낭, 비뇨생식계 등 많은 장기를 침범할 수 있는데요, 전체 결핵의 약 10~15%로 이를 폐외결핵이라고 하며, 소장과 대장에 결핵균이 침범하는 장결핵 역시 폐외결핵에 속합니다.

 

장결핵은 폐결핵이 동반되지 않은 경우에는 타인에게 전염되지 않으며, 치료기간 중에 특별한 식이요법을 필요로 하지 않습니다. 

 

이상으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끝.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