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른용어

기어이 기여히 맞춤법 참고하세요

청령포님 2025. 4. 1.

맞춤법이 틀리기 쉬운 말 중에 '기어이'와 '기여히'가 있는데요, 기어이 기여히 중에 어느 말이 바른 표현일까요? 기어이 기여히 맞춤법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기어이 기여히 맞춤법

<기어이 기여히 맞춤법>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기어이'가 바른 표현입니다.

 

- 기어이 (O)

- 기여히 (X)

 

'어떠한 일이 있더라도 반드시'라는 의미를 지닌 부사는 '기어이'이며, '기여히'는 '기어이'의 잘못된 표현입니다. 따라서 '기어이'가 바른 표현입니다. 

 

 

사람들은 '기어이'를 '기여히'로 잘못 알고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데요, 부사 '기어이'는 한자어 '期於(기어)'에서 나온 말이기 때문에 '기여히'로 표기하거나 발음하면 잘못된 표현이 됩니다. 따라서 '기어이'로 사용해야 합니다.

기어이 기여히 맞춤법 참고하세요 - undefined - undefined - <기어이 기여히 맞춤법>

<예문 학습>

(예) 너의 속마음을 기어이 알아내겠다. (O)

(예) 너의 속마음을 기여히 알아내겠다. (X)

 

(예) 나는 그를 기어이 설득시킬 것이다. (O)

(예) 나는 그를 기여히 설득시킬 것이다. (X) 

 

 

(예) 오늘은 기어이 승리하고 말겠다. (O)

(예) 오늘은 기여히 승리하고 말겠다. (X)

 

(예) 부정부패를 기어이 뿌리 뽑고 말겠다. (O)

(예) 부정부패를 기여히 뿌리 뽑고 말겠다. (X)

기어이 기여히 맞춤법 참고하세요 - undefined - undefined - <예문 학습>

<기어이 유사어>

① 그예

마지막에 가서는 기어이.

 

② 기어코

어떠한 일이 있더라도 반드시. 

 

 

③ 기필코

틀림없이 꼭.

 

④ 꼭

어떤 일이 있어도 틀림없이.

기어이 기여히 맞춤법 참고하세요 - undefined - undefined - <기어이 유사어>

<기어이 쓰임>

① 어떠한 일이 있더라도 반드시.

(예) 너의 속셈을 기어이 밝혀 내겠다.

(예) 오늘 승부는 기어이 이기고 말겠다.

(예) 나는 그녀를 기어이 설득시킬 것이다. 

 

 

② 결국에 가서는.

(예) 그는 꼬마를 기어이 울리고 말았다.

(예) 하늘이 흐리더니 기어이 비가 온다.

(예) 그가 기어이 잘못을 저지르고 말았구나. 

 

 

이상으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끝.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