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물이 자꾸 나서 고생하는 분들이 상당수 있다. 그런데 추울때 눈물이 더 심해진다. 특히
찬바람이 부는 겨울이 오면 '눈물이 자꾸나요'라며 고통을 호소하는데, 추울때 눈물이 더
심해지는 이유는 뭘까? '눈물이 자꾸나요 추울때 눈물 더 심해지는 것 같아요'라고 호소를
한다면 눈물흘림증과 안구건조증을 의심해야 한다.
눈물흘림증은
찬바람만 불면 눈물이 계속 나와 자꾸 닦아야 하며, 눈이 시려 눈을 자주 깜빡이게 되며,
심한 경우 눈가의 피부가 짓무르거나 벌겋게 되고 따끔거리게 된다. 또 눈꼽이 자주 끼며
앞이 뿌옇게 보이기도 한다.
눈물흘림증의 원인은 무엇일까?
눈물 배출 기능이 저하되어 눈물이 눈물 통로로 배출되지 못하고 눈밖으로 흘러넘치기
때문인데, 주로 만성적인 염증으로 눈물의 통로가 좁아지거나 막히게 되는 눈물폐쇄증이
주요 원인으로 작용한다.
눈물흘림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실내의 공기가 건조하지 않도록 가습하고 컴퓨터나 스마트폰을 장시간 사용하지 말아야
하며, 실내 공기를 자주 환기를 시키고, 히터의 바람을 직접 쐬거나 너무 가까이서 쐬지
말아야 한다. 또 더러워진 손으로 눈을 비비지 말고 충분한 수분 섭취와 더불어 눈이
건조하면 따뜻한 물을 수건에 적셔 마사지를 해주어야 한다.
안구건조증은
평소에는 눈물 분비량이 적어 눈이 뻑뻑한 상태가 되지만, 찬바람이나 강한 바람에는
반사적으로 눈물이 과다 생성되어 많은 양의 눈물이 나오는 것이 특징인데, 눈에
모래알이 들어간 듯한 느낌, 가려움과 작열감, 콕콕 찌르는 듯한 통증, 눈 충혈, 두통
등과 같은 다양한 증상이 동반된다.
안구건조증의 원인은 무엇일까?
바로 콘텍트렌즈 착용, 컴퓨터 또는 현미경 사용, 라식수술, 미용수술, 쇼그렌증후군,
류마티스질환, 알레르기, 약물(항히스타민제, 항경련제, 항정신병제) 복용 등으로 인해
눈물막 기능이 저하되거나, 눈물 생산량이 감소되거나, 눈꺼풀 기능에 이상이 생기기
때문이다.
안구건조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흡연, 먼지, 바람, 건조한 실내 환경 등을 피하고 눈이 뻑뻑하거나 눈에 통증이 있거나
눈이 충혈되는 경우는 인공눈물을 사용해야 한다. 끝.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술먹기 전에 먹으면 좋은 음식 (0) | 2019.12.23 |
---|---|
비장 크기 비장이 하는일 간단 설명 (0) | 2019.12.09 |
총백 효능 설명 (0) | 2019.11.07 |
거품뇨 원인 및 해결책 (0) | 2019.11.05 |
대변 색깔이 검은이유 설명 (0) | 2019.11.03 |
댓글